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지자체들이 너도나도 만들면서 이런 출렁다리가 전국 254개나 있습니다. <br> <br>세금 낭비 걱정된다 보도해 드렸었는데요. <br> <br>찾는 관광객이 줄면서, 이번엔 안전 관리도 문제라는 지적이 제기돼 곽민경 기자가 다시 가봤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개통한 지 15년이 된 길이 207m의 충남 천장호 출렁다리입니다. <br> <br>한때 70만 명에 달했던 관광객은 지난 2022년 기준 20만 명까지 줄었습니다. <br> <br>채널A가 우후죽순 생겨나는 출렁다리 문제를 지적한 지 2년 만에 다시 가봤습니다. <br> <br>출렁다리를 잇는 나사는 녹슬었고 피복이 벗겨진 낡은 전선도 보입니다. <br> <br>이렇게 다리 바닥 목재가 군데군데 갈라져 있습니다. <br> <br>손으로 살짝만 눌러도 움푹 들어갈 정도로 낡고 헐어있습니다.<br> <br>[신광순 / 충남 예산군] <br>"(제가) 수영을 못하니까 불안하죠 마음이. 이거 물에 빠지면 어떡하나." <br> <br>[충남 청양 천장호 출렁다리 관계자] <br>"조금 훼손된 것도 있고 그런 것도 저희 다 알고 있어요. 전체 예산 (계획을) 확 못 세워서 (보수) 진행을 못 하는 것 같아요." <br> <br>다른 지역도 상황이 비슷합니다. <br> <br>두 산을 잇는 전북의 출렁다리는 길이 270m, 높이 90.1m인데, 82억 원을 들여 지었지만 추락사고에 대비한 장치는 없습니다. <br> <br>제가 지금 걷고 있는 이 다리는 전북 순창 채계산 출렁다리입니다. <br> <br>다리 밑으로는 그물망 같은 안전장치 없이 바로 국도가 있습니다.<br> <br>[조원철 / 연세대 토목환경공학과 명예교수] <br>"반드시 그물망이 있어야 합니다. 위에 사용자뿐만 아니라 밑에 사람들도 보호하는 중요한 방어 장치가 되거든요." <br> <br>추락주의 안내문만 붙어 있을 뿐 안전요원도 없습니다. <br> <br>전국 지자체들이 관광 특수를 노리고 출렁다리를 설치하지만 관리 기준도 허술합니다.<br> <br>전국 출렁다리는 254개, 이 중 10%가 지어진 지 20년이 넘었습니다. <br> <br>출렁다리와 스카이워크 등 공중시설물의 42%는 정기 검사를 받아야 하는 시설물에 포함되지 않습니다. <br> <br>지난 4월 국토부가 긴급안전조치 방안 등을 담은 매뉴얼을 내놨지만 강제할 방법이 없는 겁니다. <br> <br>전문가들은 출렁다리는 바람이나 공기 흐름에도 영향을 받는 만큼 안전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. <br> <br>다시간다 곽민경입니다. <br> <br>PD : 홍주형 <br>AD : 박민지<br /><br /><br />곽민경 기자 minkyung@ichannela.com